728x90 반응형 생각 정리51 현재 미국투자 진행 방식 : VR(밸류 리밸런싱) 올해 초까지 진행하던 동적자산배분은 2월 이후인가부터 그만뒀다.3개의 전략을 계속 유지하기도 귀찮고, 시장 상황이 좋지 않긴 했지만 수익도 나지 않았기 때문이다.이후 어떻게 할지 고민만 하며 시간이 흐르던 중, 예전에 관심을 잠깐 가졌던 무한매수법에 대해 찾아봤다.무한매수법을 아주아주 잠깐 해봤는데, 매일 뭔가를 하자니 엄청 귀찮았다. 그래서 곧바로 포기했다.그런데 동일한 저자의 다음 책을 알게되었다. VR, Value Rebalancing이라는 책이었다.책을 사서 볼까 싶다가 도서관 중 한 곳에 책이 비치되어 있길래 주말을 이용해서 읽어봤다. 책 자체가 어렵거나 두껍지 않아서 금방 읽을 수 있었다.사실 처음에 읽었을 때는 설렁설렁 읽어서 그런지 잘 이해되지 않았는데, 인터넷에서 내용도 찾고 저자의 유튜.. 2024. 9. 23. 과거 주식 투자 내역을 총 정리했다 최근에 다운받은 앱 중에 도미노라는 앱이 있는데, 마이데이터를 기반으로 주식 위주로 자산을 관리해준다.인터페이스도 깔끔하고 한 눈에 보기 좋아서 자주 이용하는데, 최근 5개년에 대한 내역만 보여준다.그래서 과거내역을 보면 뭔가 맞는것 같으면서 이게 맞나 싶은게 있다.특히 오래된 투자내역은 확실한지 알 수가 없고, 배당 내역도 맞는지 잘 모르겠다.그리고 최근 5개년에 대한 내역만 나오다보니 그보다 더 오래된 투자내역은 입력되지 않으니 정확하지 않다고 판단했다.따라서 투자 내역을 전부 정리하기로 했다. 처음엔 단순하게 좋았지만 어느 순간부터 한계를 느끼게 돼서 이참에 전체 투자내역을 정리해보고자 했다.우선 도미노에 나와있는걸 엑셀로 전부 옮겨봤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없는게 좀 있어보였다.특히 내가 해외투자를.. 2024. 8. 17. 배당 투자의 의미를 느낄 수 있는 시작 금액은? 예전에 작성했던 글 중 배당의 수량에 대해 적었던 적이 있다. https://abunamja.tistory.com/entry/%EA%B5%AD%EB%82%B4%EC%A3%BC%EC%8B%9DSCHD%EB%A5%BC-%EA%B5%AD%EB%82%B4ETF%EB%A1%9C-%ED%88%AC%EC%9E%90%ED%95%98%EB%A0%A4%EB%8A%94-%EC%9D%B4%EC%9C%A0 [국내주식]SCHD를 국내ETF로 투자하려는 이유 앞선 글에서 테스트겸 매수했던 ETF의 수량을 딱 정한 적이 있다. https://abunamja.tistory.com/30 [국내주식]계좌정리 후 재투자 재작년 ISA계좌를 개설하면서 일반계좌에 있던 주식을 ISA로 옮기려고 했 abunamja.tistory.com 이 때 .. 2023. 12. 5. 목표 자산 설정 유튜브를 보다가 한 가지 알게된 것이 있어서 짧게나마 글을 남긴다. 내가 지금 목표로 하는 자산은 10억이다. 그 이유는 사실 단순하다. 월 300만원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했고, 이걸 계산하면 연 3600만원이 필요하다. 대충 세금도 필요하고 할테니 4000만원으로 잡고, 배당률을 4%로 잡으면 역계산으로 10억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목표를 10억으로 잡은 것이다. 그런데 사실 세금을 따지면 이것저것 무지하게 골치아프다. 금융소득종합과세도 있고, 건강보험료도 있고, 그건 또 지역가입자? 뭐 이런저런... 뭔 놈의 세금이 이리 복잡하게 되어있는지... 그래서 좀 더 명확하게 계산하고 싶었는데, 세금이란게 개인마다 상황이 다 다르니깐 한 가지 기준으로 계산할 수가 없다. 그래서 대충 정해놓고 있었는데, .. 2023. 11. 16. 1억이라는 '돈', 그리고 '나의 시간' 100,000,000 1억이라는 숫자는 뭔가 상징성을 갖는 느낌이다. 1부터 1억까지 매초 하나씩 카운트한다면 약 1160일, 3년 넘게 쉬지않고 계속 세어야만 끝나는 숫자다. 또, 국가적으로 보면 1억이 넘는 인구수는 경제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우리나라 인구가 5천만정도이고, 뉴스 기사를 찾아보니 이정도면 전 세계에서 30위 안에 든다고 한다. 즉, 1억이라는 숫자는 결코 작은 숫자가 아니다. 그런데 이 1억이라는 돈이 부동산으로 들어오면 작은 돈이 되어버린다. 인플레이션뿐만 아니라 부동산에 대한 사람들의 굳건한 믿으므로 부동산 가격은 정말 무시무시하게 올랐다. 특히 코로나를 거치면서 막대한 유동성에 힘입어 전국적으로 부동산은 그야말로 대폭등을 해버렸고, 이제 1억이라는 돈은 부동산 가격.. 2023. 10. 9. 환테크도 물릴 수 있음을 배우고 있다 앞선 글에서도 적었지만, 일본 엔화에 대해 환테크를 다시 하고 있다. https://abunamja.tistory.com/45 엔 환테크 다시 진행 작년에 일본 엔이 약세라는 말에 환테크를 한 적이 있었다. 예전에 읽은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증권사를 통해서 원-엔 환테크를 시도했고, 결과는 썩 좋지 않았다. 당시에는 처음으로 해보는 환 abunamja.tistory.com 다시 시작할 때 원화대비 엔화의 환율은 910원대였다. 첫 번째 환테크를 할 때가 980원대였으니, 훨씬 낮아진 상태라고 판단해서 들어갔다. 총 3000만원정도를 계좌별로 나눠서 환테크를 하다보니 하루동안 커피값에서 치킨값을 버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다가 한순간 타이밍을 놓쳤더니... 어느순간 환율이 900원 초반, 그 이하로까지 떨어.. 2023. 9. 22. 이전 1 ··· 4 5 6 7 8 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