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76

환투자 내역(일본 엔)-종료 일본 엔화가 최근 많이 떨어지고 변동성이 꽤 있어서 시험삼아 엔화 투자를 하고 있다. 원래는 달러투자를 하는게 정석이지만 요즘 달러 환율은 너무 미쳐버려서 들어가기 조심스럽다. 그래서 많이 떨어졌다는 엔화로 환투자를 해보고자 한다. 테스트 삼아 매우 소량으로 하고 있으니 큰 수익을 기대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지금 주식도, 부동산도 모두 투자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아주 작게라도 투자를 이어가고자 하는 것이다. 계좌는 달러와 섞일 우려가 없으니 퀀트에 사용하는 계좌 4개를 그냥 사용하고 있다. 얼마나 오래할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되는대로 블로그에 기록해보고자 한다. 엔화 투자 기록 매수일 매수환율 매도일 매도환율 수익률 계좌순서 비고 22.9.29 995.63 23.2.22 966.02 -2.97% 1 22.. 2022. 10. 7.
주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 : 손실 피하기 출장을 다니면서 이런저런 생각을 한다. 그러던 중 문득 '단리와 복리가 같아지는 시점과 수익률은 언제일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당장 생각나는대로 출장지에서 계산을 해봤는데, 나중에 찬찬히 찾아보면서 다시 계산해보니 식 자체가 틀린 것이었다. 어쨌든 식을 다시 세워보니 복리의 위대함을 다시 한 번 볼 수 있었다. 단리의 그래프는 y=1+nx이고, 복리 그래프는 y=(1+n)^x이다. (n: 수익률, x: 기간, y: 총 수익률) 두 그래프가 만나는 지점은 x=1, 즉 1년차일 때이고, 그 이후부터는 복리가 무조건 단리보다 높다. 사실 이 그래프는 투자 관련 책을 몇 권 봤다면 많이 봤을 것이다. 장기 투자의 중요성을 보여준다면서 흔히 인용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그래프에는 함정이 하나 있다. 단.. 2022. 10. 7.
달러 ETF는 뭘 사야하나 최근 달러 인덱스가 엄청나게 오르고 있다. 미중 패권 경쟁, 우크라이나 전쟁, 인플레이션 등등 악재가 연이어 발생하다보니 달러 인덱스가 폭발하는 것 같다. 덕분에 우리나라 환율도 우주로 치솟고 있는 중이고, 주식은 추락 중이다. 흑흑 위험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연금계좌에 달러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담아볼까 싶다. 우리나라에 있는 달러 지수 관련 ETF를 찾아보니 대부분 인버스, 레버리지에 묶여있다. 난 이런걸 바라지 않는데... 그나마 달러와 관련된 ETF 중에서 시가총액이 큰 것을 찾아보니 TIGER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와 KODEX미국달러선물 이렇게 2개가 나은 것 같다. TIGER ETF가 KODEX보다 시총은 3.7배정도 큰데, 상장은 KODEX가 더 빠르다. (2019년vs2016년) 더 찾아.. 2022. 9. 7.
미국주식 퀀트전략 시작(22.09.02) 예전부터 관심은 있었는데 물려있어서 못 팔고 있던 미국주식을 전부 매도하고 퀀트전략으로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9월에 배당까지 받고 손절할까 고민했는데 시장이 좋아질 것 같지 않아서 9월부터 퀀트로 넘어가기로 해서 전부 매도해서 현금을 확보했다. 총 투자금액은 20,000달러였는데, 5,000달러는 환율이 많이 올라서 원화로 환전했다. 그래서 총 투자금액은 15,000달러. 퀀트 전략은 강환국 작가의 거인의 포트폴리오와 유튜브(할 수 있다! 알고 투자) 영상을 보고 선택했다. 전략도 여러 개를 섞어서 사용하려고 한다. 내가 직접 백테스트를 해보면 좋겠는데, 아직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다. 일단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전략을 선택했다. 선택한 전략 : CDM(종합 듀얼 모멘텀), VAA 공격형, GTA.. 2022. 9. 5.
무지성 적립식 투자를 그만둔 이유 처음 주식투자를 시작할 때 여러 유튜브를 봤고, 그 중 많은 사람이 말하는 초보에게 적합한 투자는 배당주 투자와 지수ETF에 적립식 투자였다. 둘 다 나에게 맞는 투자법이였기에 활용했고, 특히 미국의 경우 ETF가 매우 잘 발달되어 있어 개별주가 아닌 ETF로 투자하기 좋은 환경이었다. 특히 꾸준히 시장지수 ETF에 적립식으로 투자하는 정말 많은 영상과 책에서 추천하는 방법이었다. 이유는 간단하다. 1. 주식시장은 등락이 있지만 장기적으로 우상향한다. 2. 가격이 떨어지면 낮은 금액에서 더 많이 살 수 있어 오히려 좋다. 3. 시장을 이기는 펀드는 극소수이므로, 시장을 추종하는 방식이 일반인에게는 적합하다. 나는 이런 말들이 맞다고 본다. 침체가 있어도 주식은 우상향 해왔고, 주가가 떨어지면 추가 매수를.. 2022. 9. 3.
아싸의 부자되어 남은 인생 자유롭게 살기 허접한 블로그 시작 2022. 5.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