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QQQ3

[투자연구#10] QQQ와 SPYG 비교, SCHD와의 궁합 얼마 전에 삼프로TV였나, 어디선가 PLUS ETF에서 새롭게 출시된 상품에 대해 봤다.PLUS 미국S&P500성장주라는 ETF로, 이름만 봐도 사람들이 좋아할만한 상품이었다.처음 봤을 때는 크게 관심이 없었는데(이미 계좌는 배당ETF로 다 채워놨으니), 곰곰히 생각해보니 뭔가 익숙했다.그래서 해당 ETF의 기초지수를 살펴보니, S&P500 Growth라는 인덱스였다.이걸 보니 간만에 떠오르는 ETF가 있었다. 바로 SPYG라는 미국 ETF였다.원화환산을 제외하면 동일한 벤치마크를 추종함을 확인할 수 있다. 내가 주식, 특히 미국 투자를 시작하고 초창기에 알게되어, 2년정도 투자했던 상품이었다.QQQ에 투자하자니 1주당 가격이 높아 부담스러웠고, QQQM은 출시되기 전이라서 대체 상품으로 투자했었다.2년.. 2024. 10. 24.
[투자연구#1] 12개월 모멘텀 백테스트(QQQ 적립식) 어제는 거치식 방법으로 QQQ를 투자했을 때, 단순 거치식과 모멘텀 방식에 대해 비교를 해봤다. 이번에는 매달 적립식으로 투자를 했을 때에 대해 비교해보고자 한다. 1. 적립식 투자 가정 일단 기본 투자금액은 $10,000로 시작하고, 매달 $1,000를 적립한다고 가정해보자. 추가적인 가정이 있는데, 단순 적립식은 그저 1,000달러에 해당하는 QQQ의 주식 수를 매수한다. (예: QQQ가 110달러인 경우 9주만 매수) 모멘텀 방식의 경우 투자 판단 기준(모멘텀 점수 6이상이면 1, 0~5일 경우 0.5, 그 이하는 0)에 따라 나뉜다. 1와 0.5인 경우 매달 1,000달러를 100% 또는 50% 추가 매수한다. 0인 경우 추가로 매수하지 않고 현금으로만 보유한다. 사고 남은 금액도 포함시켜서 테스.. 2023. 2. 21.
[투자연구#1] 12개월 모멘텀 백테스트(QQQ 거치식) 마켓타이밍 전략을 활용하고 있으니 백테스트가 필수라는 것은 알고 있다. 백테스트를 활용할 수 있는 사이트는 많이 있고, 그 중 나는 portfolio visualizer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portfolio visualizer는 부분 유료 사이트로, 일반적인 자산배분 백테스트는 무료로 가능하다. 그 외에도 이런 저런 기능이 많이 있는데,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사실 잘 모르겠다.) 그래서 여러 ETF를 섞어서 자산배분을 하면 어떻게 되겠다라는 백테스트가 가능하다. 그런데 한참 사용하던 나도 몰랐던 것이, 이 웹사이트에서 마켓타이밍 전략에 대한 백테스트도 지원해주는 것이었다. 그래도 미국주식을 투자한 이후로 쭉 사용하던 웹사이트였는데, 저런 기능이 있는 줄은 몰랐다. 역시 아는만큼 보인다더니... 그런.. 2023. 2.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