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1

[23.02] 동적자산배분 결산 #2 23년에 들어서자 1월에 한국, 미국 모두 증시가 오르고 있다. 침체가 온다는데 갑작스레 오르니 한편으로 걱정되기는 하지만, 일단 전략을 계속 진행하기로 한다. 현재 사용 중인 전략 : 종합듀얼모멘텀, VAA공격형, GTAA5, 채권동적자산 1. 종합듀얼모멘텀 처음으로 매수 신호가 떴다. 그것도 금(GLD)에서. 이렇게 보니 아무리 주가가 많이 올랐다 하더라도 1년 전과 비교하면 가격은 여전히 안 올라왔구나가 보여진다. 왜 금을 사라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전략에 따르기로 한다. 참고로 이 계좌에는 아직 예수금이 원하는 만큼 안 채워졌으니 매수 신호가 더 뜨면 추가 금액을 투입해야겠다. 매수 : GLD(179.57) 매도 : X 유지 : X 수익률 : 0%(실현), 0%(평가) 2. VAA 공격형 전략을.. 2023. 2. 2.
[23.01] 동적자산배분 결산 #1 22년 9월부터 미국주식을 동적자산배분으로 매매하고 있다. 그동안 선택한 모든 전략이 모두 현금보유였기에 매매가 없었는데, 12월에 처음으로 매매 신호가 떴다. 생각을 못하고 블로그에 글을 안 적었는데, 23년도 됐고 하니 블로그 글 쓰는 습관도 들여볼 겸 투자 기록을 해보고자 한다. 현재 사용 중인 전략 : 종합듀얼모멘텀, VAA공격형, GTAA5, 채권동적자산 1. 종합듀얼모멘텀 동적자산을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유일하게 매매가 없는 전략이다. 1년 전과 비교해서 얼마나 증시가 안 좋은지 알 수 있다. 현재 상태에선 현금이 최고라는 것을 알려주는 지표로 볼 수 있겠다. 매수 : X 매도 : X 수익률 : 0%(실현), 0%(평가) 2. VAA 공격형 지난 달에 공격형 자산의 모멘텀 스코어가 모두 플러스.. 2023. 1. 3.
달러 ETF는 뭘 사야하나 최근 달러 인덱스가 엄청나게 오르고 있다. 미중 패권 경쟁, 우크라이나 전쟁, 인플레이션 등등 악재가 연이어 발생하다보니 달러 인덱스가 폭발하는 것 같다. 덕분에 우리나라 환율도 우주로 치솟고 있는 중이고, 주식은 추락 중이다. 흑흑 위험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연금계좌에 달러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담아볼까 싶다. 우리나라에 있는 달러 지수 관련 ETF를 찾아보니 대부분 인버스, 레버리지에 묶여있다. 난 이런걸 바라지 않는데... 그나마 달러와 관련된 ETF 중에서 시가총액이 큰 것을 찾아보니 TIGER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와 KODEX미국달러선물 이렇게 2개가 나은 것 같다. TIGER ETF가 KODEX보다 시총은 3.7배정도 큰데, 상장은 KODEX가 더 빠르다. (2019년vs2016년) 더 찾아.. 2022. 9. 7.
미국주식 퀀트전략 시작(22.09.02) 예전부터 관심은 있었는데 물려있어서 못 팔고 있던 미국주식을 전부 매도하고 퀀트전략으로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9월에 배당까지 받고 손절할까 고민했는데 시장이 좋아질 것 같지 않아서 9월부터 퀀트로 넘어가기로 해서 전부 매도해서 현금을 확보했다. 총 투자금액은 20,000달러였는데, 5,000달러는 환율이 많이 올라서 원화로 환전했다. 그래서 총 투자금액은 15,000달러. 퀀트 전략은 강환국 작가의 거인의 포트폴리오와 유튜브(할 수 있다! 알고 투자) 영상을 보고 선택했다. 전략도 여러 개를 섞어서 사용하려고 한다. 내가 직접 백테스트를 해보면 좋겠는데, 아직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다. 일단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전략을 선택했다. 선택한 전략 : CDM(종합 듀얼 모멘텀), VAA 공격형, GTA.. 2022. 9. 5.
아싸의 부자되어 남은 인생 자유롭게 살기 허접한 블로그 시작 2022. 5.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