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65

[투자연구#9] QLD 모멘텀스코어 투자 백테스트 by 파이썬 얼마 전에 책 한 권을 샀다.책 링크 챗GPT로 만드는 주식 & 암호화폐 자동매매 시스템 : 네이버 도서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search.shopping.naver.com파이썬 코딩을 할 줄 모르는 나로썬 이보다 좋은 책은 없었다.도서관에서 빌리려고 했더니 좀 먼 도서관에 있길래 그냥 사버렸다.책 내용을 따라서 챗GPT에 질문을 입력하니 파이썬 코드를 작성해준다.오류가 발생해도 그 오류를 다시 복붙하면 수정까지 해준다.와... 그동안 챗gpt를 대충 썼는데, 자세하게 질문하니 코드까지 정밀하게 짜준다니 놀랍다.이래서 사람들이 인공지능에 환장(?)하는 것 같다.확실히 챗gpt 제대로 쓰는 것도 능력이 되는 것 같다. 어쨌건 그렇게 된 김에 예전에 QLD에 대한.. 2024. 3. 20.
[연금계좌] 연금저축과 IRP 운용 퇴사를 준비하면서 IRP 계좌를 만들었다. 그리고 퇴사한 뒤 퇴직금을 IRP로 받았다. 작년에 계좌를 만든 김에 세액공제도 받으려고 돈을 좀 넣어서 장외채권이랑 ETF를 매수했었는데, 퇴직금이 들어오니 어떻게 운용해야하나 고민했다. 연금저축에는 한국형 QQQ+SCHD로 운용하고 있으니, IRP는 채권 위주로 운용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가장 기본적인 포트폴리오인 6040 포트폴리오로 운용하고자 생각했기 때문이다. 비중을 어떻게 할 지는 아직 고민 중이긴 하다. 6040처럼 주식60, 채권40의 비중으로 연금저축이랑 IRP를 할까 싶은데, 일단 지금은 평가금액 기준으로 75:25정도 된다. 비중을 맞추려면 IRP에 900만원정도 더 넣어야하는데, 일단 그건 다시 취업을 하고나서 생각해보는걸로... 그리고 .. 2024. 3. 13.
[투자연구#8]HAA 전략 응용해보기 퇴사한 이후 이것저것 정신이 없어서 투자에 신경쓰지 못하고 있다.그래서 미국 상승장을 죄다 놓쳐버렸다.또 거기다 코인도 몇 달 전부터 관심이 생겨 계좌까지 만들었지만 투자하지 않고 있었는데, 그새 어마어마하게 폭등해버렸다.그러다 어제 코인을 샀더니 최고점을 찍고 떨어졌다.(...)나는 투자하면 안되는 사람인건가...어차피 꾸준히 투자할거니 잠깐 떨어지는 것은 상관하지 않기로 하자. 어쨌든 아직 달러를 원화로 환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국주식에 직접 투자는 계속해서 진행해야겠다고 생각한다.정적을 할지 동적을 할지 솔직히 계속 고민되긴 한다.그래도 국내에서 투자하는 방법을 정적 자산으로 하기 있기 때문에, 미국 직접투자 부분은 동적으로 할까 싶다.그래서 투자 전략을 어떤걸 해야할까 고민하고.. 2024. 3. 6.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돌아온다고? 2022년 2~3월에 걸쳐 청년희망적금이란 제도를 운용했다고 한다. 이런저런 자격 요건이 있었고, 나는 소득 요건이 맞지 않아서 가입하지 못했다. 연소득 3600만 이하가 자격 요건인데 연봉이 3800만이었다.(TMI) 간단히 찾아보니 우대 금리에 저축장려금이 더해져 일반적인 적금보다 추가적인 금액을 수령할 수 있다. 표를 보니 최소 약 640만원, 최대 약 1300만원을 수령할 수 있는데, 사회초년생이면 이는 작은 금액이 아닐 것이다. 2년간 꾸준히 적금을 부으면서 손에 움켜쥐는 이 돈을 쉽게 소비로만 사용하기엔 아쉬울 것이라 생각한다. 사실 2년동안 적금을 깨지 않고 만기 수령했다면 기본적인 재테크 마인드는 갖춘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그런지 네이버 카페에 수령액을 어떻게 운용할 지 묻는 글이 간혹.. 2024. 2. 29.
[연금계좌] ACE미국배당다우존스 분배금 입금(24년 1월) 이번에도 배당금이 입금됐다. 1주당 45원 배당금이 책정되었다. 역시 연금계좌로 받으니 세금을 떼지 않고 고스란히 받았다. 그렇게 받은 배당금은 다시 ETF를 매수하는데 사용했다. 매수를 해보니 8주정도 살 수 있게 됐다. 지난 달에도 8주를 매수했었는데, 이번 달에도 동일한 숫자가 되었다. 만약 매달 8주라면 1년에 96주. 그러면 음... 복리 효과가 좀 나타나려나?? 근데 배당ETF만 매수를 해야하나? 성장ETF는 어떻게 하지?? 2024. 1. 4.
[24.01] 동적자산배분 결산 #13 2024년이 되었다. 올해는 나에게 커다란 변화를 주기로 했다. 그래서 투자는 좀 보수적으로 해야할 것 같다. 그냥 넣어두고 묻어버리는 걸 해야하나? 일단 모멘텀 계산을 해보자. 현재 사용 중인 전략 : 레버리지 추세 비율, 채권동적자산, HAA(예비) 1. 레버리지 추세 비율 한 달 사이에 상승세가 크게 나타나서 100% 투자 비율로 나왔다. 그런데 계산하고나서 며칠 사이에 많이 빠지고 있다. 허허 이거 참... 이 전략은 이렇게 변화무쌍한 시장에서는 대응이 참 어려운 것 같다. 동적자산배분이란 것 자체가 원래 그런 것 같긴 하다만... 매수 : X 매도 : QLD(76.40) 유지 : X 수익률 : 13.48%(실현), 0%(월 평가) 2. 채권동적자산 채권도 지난달 말에 세금을 생각해서 같이 매도해.. 2024. 1.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