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334

투자 진행 방향에 대한 고민 #1 현재 나는 국내주식과 미국주식으로 양분화해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지금 진행하고 있는 투자방법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 있어 글로 남긴다. 1. 국내주식계좌 국내주식 계좌의 경우 ISA와 개인연금으로 운영 중이고, 이 중 ISA에 있는 주식은 개별주 투자이다. 국내 주식 중 우량 기업의 배당을 받을 목적으로 계좌를 만들고 매수했지만, 너무 긴 배당 주기(6개월 또는 1년)와 개별 회사에 대한 불신으로 적절한 시점이 되면 모두 매도할 생각이다. ISA 계약기간이 24년까지라서 그 기간 중에 이것저것 시도해 볼 생각이긴 한데, 주력으로 진행할 것은 아니다. 그리고 개인연금의 경우, 강환국 작가의 책과 유튜브, 삼프로 강좌를 통해 접한 한국형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서 자산배분을 진행하고 있다. 즉, 개인연금.. 2023. 2. 16.
[23.02] 동적자산배분 결산 #2 23년에 들어서자 1월에 한국, 미국 모두 증시가 오르고 있다. 침체가 온다는데 갑작스레 오르니 한편으로 걱정되기는 하지만, 일단 전략을 계속 진행하기로 한다. 현재 사용 중인 전략 : 종합듀얼모멘텀, VAA공격형, GTAA5, 채권동적자산 1. 종합듀얼모멘텀 처음으로 매수 신호가 떴다. 그것도 금(GLD)에서. 이렇게 보니 아무리 주가가 많이 올랐다 하더라도 1년 전과 비교하면 가격은 여전히 안 올라왔구나가 보여진다. 왜 금을 사라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전략에 따르기로 한다. 참고로 이 계좌에는 아직 예수금이 원하는 만큼 안 채워졌으니 매수 신호가 더 뜨면 추가 금액을 투입해야겠다. 매수 : GLD(179.57) 매도 : X 유지 : X 수익률 : 0%(실현), 0%(평가) 2. VAA 공격형 전략을.. 2023. 2. 2.
[23.01] 동적자산배분 결산 #1 22년 9월부터 미국주식을 동적자산배분으로 매매하고 있다. 그동안 선택한 모든 전략이 모두 현금보유였기에 매매가 없었는데, 12월에 처음으로 매매 신호가 떴다. 생각을 못하고 블로그에 글을 안 적었는데, 23년도 됐고 하니 블로그 글 쓰는 습관도 들여볼 겸 투자 기록을 해보고자 한다. 현재 사용 중인 전략 : 종합듀얼모멘텀, VAA공격형, GTAA5, 채권동적자산 1. 종합듀얼모멘텀 동적자산을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유일하게 매매가 없는 전략이다. 1년 전과 비교해서 얼마나 증시가 안 좋은지 알 수 있다. 현재 상태에선 현금이 최고라는 것을 알려주는 지표로 볼 수 있겠다. 매수 : X 매도 : X 수익률 : 0%(실현), 0%(평가) 2. VAA 공격형 지난 달에 공격형 자산의 모멘텀 스코어가 모두 플러스.. 2023. 1. 3.
내년 물가는 올해 상승률보다 높을까? 경제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그저 나부랭이의 뇌피셜일 뿐이다. 오늘(22.10.13) 미국 9월 CPI가 8.2%로 발표됐다. 작년 9월과 대비해서 소비자 물가 지수가 8.2% 상승했다는 의미...랜다. 경제를 제대로 배우지 않았으므로 CPI가 뭔지 자세히는 모르지만 소비자 물가 지수라고 하니 쉽게 생각해서 우리가 느끼는 밥값, 옷값, 집값 이런 것에 대한 지수일 것이다. 현재 경제의 최대 화두는 엄청난 인플레이션이고, 이를 잡기 위해 미국을 필두로 전 세계적으로 강력한 금리 인상을 진행하고 있다. 내년에 집 대출을 받아야하는 나로썬 죽을 맛이지만... 어쨌든 작년 5월부터 4% 이상의 지수가 나오기 시작하더니 올해부터는 7~8%의 물가상승률이 발표되고 있다. 그 덕분에 주식시장은 박살나고 있다. 아.. 2022. 10. 13.
환투자 내역(일본 엔)-종료 일본 엔화가 최근 많이 떨어지고 변동성이 꽤 있어서 시험삼아 엔화 투자를 하고 있다. 원래는 달러투자를 하는게 정석이지만 요즘 달러 환율은 너무 미쳐버려서 들어가기 조심스럽다. 그래서 많이 떨어졌다는 엔화로 환투자를 해보고자 한다. 테스트 삼아 매우 소량으로 하고 있으니 큰 수익을 기대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지금 주식도, 부동산도 모두 투자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아주 작게라도 투자를 이어가고자 하는 것이다. 계좌는 달러와 섞일 우려가 없으니 퀀트에 사용하는 계좌 4개를 그냥 사용하고 있다. 얼마나 오래할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되는대로 블로그에 기록해보고자 한다. 엔화 투자 기록 매수일 매수환율 매도일 매도환율 수익률 계좌순서 비고 22.9.29 995.63 23.2.22 966.02 -2.97% 1 22.. 2022. 10. 7.
주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 : 손실 피하기 출장을 다니면서 이런저런 생각을 한다. 그러던 중 문득 '단리와 복리가 같아지는 시점과 수익률은 언제일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당장 생각나는대로 출장지에서 계산을 해봤는데, 나중에 찬찬히 찾아보면서 다시 계산해보니 식 자체가 틀린 것이었다. 어쨌든 식을 다시 세워보니 복리의 위대함을 다시 한 번 볼 수 있었다. 단리의 그래프는 y=1+nx이고, 복리 그래프는 y=(1+n)^x이다. (n: 수익률, x: 기간, y: 총 수익률) 두 그래프가 만나는 지점은 x=1, 즉 1년차일 때이고, 그 이후부터는 복리가 무조건 단리보다 높다. 사실 이 그래프는 투자 관련 책을 몇 권 봤다면 많이 봤을 것이다. 장기 투자의 중요성을 보여준다면서 흔히 인용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그래프에는 함정이 하나 있다. 단.. 2022. 10. 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