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326 목표 자산 설정 유튜브를 보다가 한 가지 알게된 것이 있어서 짧게나마 글을 남긴다. 내가 지금 목표로 하는 자산은 10억이다. 그 이유는 사실 단순하다. 월 300만원정도면 충분하다고 생각했고, 이걸 계산하면 연 3600만원이 필요하다. 대충 세금도 필요하고 할테니 4000만원으로 잡고, 배당률을 4%로 잡으면 역계산으로 10억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목표를 10억으로 잡은 것이다. 그런데 사실 세금을 따지면 이것저것 무지하게 골치아프다. 금융소득종합과세도 있고, 건강보험료도 있고, 그건 또 지역가입자? 뭐 이런저런... 뭔 놈의 세금이 이리 복잡하게 되어있는지... 그래서 좀 더 명확하게 계산하고 싶었는데, 세금이란게 개인마다 상황이 다 다르니깐 한 가지 기준으로 계산할 수가 없다. 그래서 대충 정해놓고 있었는데, .. 2023. 11. 16. [연금계좌] 포트폴리오 수정 중 이전 글에서 몇 번 언급했던 연금계좌의 포트폴리오는 아래와 같다. 포트폴리오의 리밸런싱 주기를 4월과 11월로 잡았다. 4월은 ETF의 매매를 통해 비율을 조절하고, 11월은 추가납입을 통해 비율을 조절하는 것이다. 작년에 포트폴리오를 구성했기에 올해 4월이 첫 리밸런싱이었다. 한 번에 매매를 할까 고민했는데 그래도 분할로 하는게 나을 것 같아서 조금씩 나눠서 매도 및 매수했다. 그런데 저렇게 포트폴리오를 구상한 이후, 괜찮은 구성인가하는 생각이 계속 들었다. 채권을 너무 세세하게 나눈 것도 있고, 연금계좌의 세제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한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금융소득 중에서 국내주식 매매는 비과세이고 나머지는 세금이 있는데, 리밸런싱을 자주하지 않으니 해당 과세는 거의 없다고 보는게 맞을 것.. 2023. 11. 6. [23.11] 동적자산배분 결산 #11 이제 2023년도 2달 밖에 남지 않았다. 9월까지는 그래도 약간 버티던 시장이 10월이 되며 많이 하락했다. 특히 국내시장은 10월 막판에 완전 개박살 나버렸다. 이런 저런 사고가 터져서 그런 것 같은데... 어느 순간부터 국내 시황은 안 보다 보니 자세히는 모르겠다. 어차피 국내주식은 거의 없는 수준이지만, 그래도 연금계좌에 찍힌 마이너스를 보면 씁쓸하다. 어쨌든 전략을 확인하는 작업은 일단 진행한다. 현재 사용 중인 전략 : 레버리지 추세 비율, 채권동적자산, HAA(예비) 1. 레버리지 추세 비율 전략 사용 이후 처음으로 음수의 모멘텀 스코어가 떴다. 다시 말하자면 시장이 박살났다는 뜻. 안 그래도 레버리지를 쓰다보니 -10%대는 우습고 -20%대도 찍었던 걸로 기억한다. -30%대도 있었던가? .. 2023. 11. 1. [연금계좌] 한국형 SCHD ETF 보수 간략 비교 최근 연금계좌에 넣을 적금이 만기되면서 포트폴리오 리밸런싱을 할 때가 되었다. 지금 구축해놓은 포트폴리오를 그대로 가져갈까 싶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주식시장을 보니 역시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덕분에 포트폴리오에서 1년동안 수익이던 코스피200 ETF는 손실구간에 접어들었다. 채권ETF는 말할 것도 없고... 그나마 큰 수익률은 금인데 애초에 비중이 작으니 크게 의미는 없다. 그래서 전부터 고민해오던 간략한 포트폴리오로 나스닥100+SCHD를 섞는 포트폴리오로 바꿀까 싶다. 한동안 SCHD 열풍이 불어서 한국형 SCHD도 많이 생겼고, 모두 월배당이라 매달 ETF 매수하기도 좋아보이기 때문이다. 현재 전통적인(?) 한국형 SCHD는 총 3개의 운용사 상품, SOL(신한), ACE(한국투자), TI.. 2023. 11. 1. 1억이라는 '돈', 그리고 '나의 시간' 100,000,000 1억이라는 숫자는 뭔가 상징성을 갖는 느낌이다. 1부터 1억까지 매초 하나씩 카운트한다면 약 1160일, 3년 넘게 쉬지않고 계속 세어야만 끝나는 숫자다. 또, 국가적으로 보면 1억이 넘는 인구수는 경제적으로도 큰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우리나라 인구가 5천만정도이고, 뉴스 기사를 찾아보니 이정도면 전 세계에서 30위 안에 든다고 한다. 즉, 1억이라는 숫자는 결코 작은 숫자가 아니다. 그런데 이 1억이라는 돈이 부동산으로 들어오면 작은 돈이 되어버린다. 인플레이션뿐만 아니라 부동산에 대한 사람들의 굳건한 믿으므로 부동산 가격은 정말 무시무시하게 올랐다. 특히 코로나를 거치면서 막대한 유동성에 힘입어 전국적으로 부동산은 그야말로 대폭등을 해버렸고, 이제 1억이라는 돈은 부동산 가격.. 2023. 10. 9. [23.10] 동적자산배분 결산 #10 추석을 지나면서 어느덧 10월이 됐다. 이제 23년도 3개월밖에 남지 않은 지금, 슬슬 내년을 고민하고 있다. 투자뿐만 아니라 인생에 대해서도 고민이 많은 이 시점. 진로도 걱정이지만 투자도 신경써야하기에 계속해서 투자는 이어나간다. 8월까진 시장상황이 괜찮았는데 9월이 되니 급락해버렸다. 현재 사용 중인 전략 : 레버리지 추세 비율, 채권동적자산, HAA(예비) 1. 레버리지 추세 비율 이 전략을 사용한 이후 처음으로 급격한 하락을 경험했다. 이전달엔 그래도 6.5 -> 4.5로 떨어졌는데, 이번에는 4.5 -> 1.0으로 상당히 많은 하락이 있었다. 그만큼 시장도 안 좋다는 의미이고, 나의 계좌도 많이 박살났다는 뜻이다.(...) 전략이 궁금해서 챗gpt한테 물었을 때, 급격한 시장 변동을 조심하라고.. 2023. 10. 3. 이전 1 ··· 43 44 45 46 47 48 49 ··· 5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