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334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돌아온다고? 2022년 2~3월에 걸쳐 청년희망적금이란 제도를 운용했다고 한다. 이런저런 자격 요건이 있었고, 나는 소득 요건이 맞지 않아서 가입하지 못했다. 연소득 3600만 이하가 자격 요건인데 연봉이 3800만이었다.(TMI) 간단히 찾아보니 우대 금리에 저축장려금이 더해져 일반적인 적금보다 추가적인 금액을 수령할 수 있다. 표를 보니 최소 약 640만원, 최대 약 1300만원을 수령할 수 있는데, 사회초년생이면 이는 작은 금액이 아닐 것이다. 2년간 꾸준히 적금을 부으면서 손에 움켜쥐는 이 돈을 쉽게 소비로만 사용하기엔 아쉬울 것이라 생각한다. 사실 2년동안 적금을 깨지 않고 만기 수령했다면 기본적인 재테크 마인드는 갖춘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그런지 네이버 카페에 수령액을 어떻게 운용할 지 묻는 글이 간혹.. 2024. 2. 29.
[국내투자]절세계좌 활용 방안 현재 국내 절세계좌 중 가장 대중적인 것은 ISA, 연금저축, IRP이다. 각 계좌별로 자세한 안내는 인터넷에 찾아도 나오고, 나중에 시간이 되면 정리해볼까 생각 중이다. 여기서는 내가 3가지의 계좌를 어떻게 활용할 생각인지 적어보고자 한다. 일단 3가지의 계좌를 크게 2가지로 나누자면 ISA와 연금저축+IRP가 될 것이다. 연금저축과 IRP는 큰 틀로보면 비슷한데, 개인이 스스로 연금을 쌓기위한 계좌이다. 계좌를 담당하는 주무부처가 다르다고 하던데, 사실 그런 것까지 알 필요는 없을 것 같고. 한도는 최대 1800만원이지만, 세액공제 한도는 2023년부터 늘어나서 IRP 900만원, 연금저축 600만원이다. 참고로 두 계좌를 합해서 세액공제 최대한도는 900만원이다. 따라서 연금저축에 600만원을 넣었.. 2024. 2. 26.
[연금계좌] ACE미국배당다우존스 분배금 입금(24년 1월) 이번에도 배당금이 입금됐다. 1주당 45원 배당금이 책정되었다. 역시 연금계좌로 받으니 세금을 떼지 않고 고스란히 받았다. 그렇게 받은 배당금은 다시 ETF를 매수하는데 사용했다. 매수를 해보니 8주정도 살 수 있게 됐다. 지난 달에도 8주를 매수했었는데, 이번 달에도 동일한 숫자가 되었다. 만약 매달 8주라면 1년에 96주. 그러면 음... 복리 효과가 좀 나타나려나?? 근데 배당ETF만 매수를 해야하나? 성장ETF는 어떻게 하지?? 2024. 1. 4.
[24.01] 동적자산배분 결산 #13 2024년이 되었다. 올해는 나에게 커다란 변화를 주기로 했다. 그래서 투자는 좀 보수적으로 해야할 것 같다. 그냥 넣어두고 묻어버리는 걸 해야하나? 일단 모멘텀 계산을 해보자. 현재 사용 중인 전략 : 레버리지 추세 비율, 채권동적자산, HAA(예비) 1. 레버리지 추세 비율 한 달 사이에 상승세가 크게 나타나서 100% 투자 비율로 나왔다. 그런데 계산하고나서 며칠 사이에 많이 빠지고 있다. 허허 이거 참... 이 전략은 이렇게 변화무쌍한 시장에서는 대응이 참 어려운 것 같다. 동적자산배분이란 것 자체가 원래 그런 것 같긴 하다만... 매수 : X 매도 : QLD(76.40) 유지 : X 수익률 : 13.48%(실현), 0%(월 평가) 2. 채권동적자산 채권도 지난달 말에 세금을 생각해서 같이 매도해.. 2024. 1. 4.
[23.12]동적자산배분 결산 #12-1 지난 글에서 계산했던 결과에 따라 레버리지와 채권 ETF를 각각 매수했다. 원래 예정일보다 조금 늦게 매수했는데, 그래도 12월 한 달동안 주가가 많이 올라서 10%정도의 수익이 났다. 원래대로라면 더 들고 있어야하는데, 이익금이 양도세 공제 금액을 초과해서 매도하기로 했다. 그냥 놔두고 내년에 매도를 하게된다면 세금을 내야하는데, 올해는 죄다 손실을 봤던터라 손익통산으로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미국주식 투자하면서 세금을 고려한 건 처음인 것 같다. 그것도 공제 금액이 초과돼서 팔게 되다니... 역시 레버리지의 힘이란 무섭다. 그나저나 새해에는 투자 전략을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된다. 항상 고민이었지만 레버리지 투자 전략을 어떤 방식으로 해야할까.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전략은 허접하게 만든 것.. 2023. 12. 27.
QQQ+SCHD를 활용한 전략_유튜브 영상 https://youtu.be/8jLn3VoszSE?si=VDf6YA1creQi5QHD 내가 구독 중인 유튜브 채널 중 하나인 스노우볼72에 오늘 올라온 영상이다. QQQ+SCHD를 활용하는 전략에 관심이 많고, 실제로 연금계좌는 해당 포트폴리오로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를 모멘텀 전략으로 활용한다니 관심이 생겨서 영상을 봤다. 조건이 상당히 많이 붙긴 하던데, 어쨌든 좋은 것 같긴 하다. 단점이라면 배당을 제대로 받지 못할 것 같은?? 2023. 12.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