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3월에 걸쳐 청년희망적금이란 제도를 운용했다고 한다.
이런저런 자격 요건이 있었고, 나는 소득 요건이 맞지 않아서 가입하지 못했다.
연소득 3600만 이하가 자격 요건인데 연봉이 3800만이었다.(TMI)
간단히 찾아보니 우대 금리에 저축장려금이 더해져 일반적인 적금보다 추가적인 금액을 수령할 수 있다.
표를 보니 최소 약 640만원, 최대 약 1300만원을 수령할 수 있는데, 사회초년생이면 이는 작은 금액이 아닐 것이다.
2년간 꾸준히 적금을 부으면서 손에 움켜쥐는 이 돈을 쉽게 소비로만 사용하기엔 아쉬울 것이라 생각한다.
사실 2년동안 적금을 깨지 않고 만기 수령했다면 기본적인 재테크 마인드는 갖춘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그런지 네이버 카페에 수령액을 어떻게 운용할 지 묻는 글이 간혹 올라오곤 한다.
재테크 지식이 부족한 사람은 은행 예금을 찾아서 넣는게 제일 나을 것이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재테크를 시작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아마 수령한 목돈을 바탕으로 시작해보지 않을까 싶다.
주식이나 코인에 관심을 갖고 시작할텐데, 어렵게 모은 돈을 증발시키고 싶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개인적인 성향이지만 이런 돈이 있다면 ISA계좌로 이관시켜 배당투자를 시작할 것이다.
ETF로 시작하면 좋겠지만, 잘 모른다면 일단 제일 만만한(?) 삼성전자를 사서 분기별로 배당을 받는게 어떨까 싶다.
나도 처음 주식투자를 배당 때문에 시작했으니 이런 방법이 좋지 않을까 싶다.
거기다 ISA계좌는 절세효과도 있으니 나쁘지 않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아니면 연금저축을 시작해보는 것도 좋은 선택지이다.
주변에 이런걸 묻는 사람이 있다면 상담(?)해줄텐데 없네...
그냥 문득 카페글 보다 생각나서 한 글자 적어봤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계좌] 연금저축과 IRP 운용 (1) | 2024.03.13 |
---|---|
[투자연구#8]HAA 전략 응용해보기 (5) | 2024.03.06 |
[연금계좌] ACE미국배당다우존스 분배금 입금(24년 1월) (0) | 2024.01.04 |
[24.01] 동적자산배분 결산 #13 (1) | 2024.01.04 |
[23.12]동적자산배분 결산 #12-1 (0) | 2023.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