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포트폴리오16 [연금계좌] 연금저축과 IRP 운용 퇴사를 준비하면서 IRP 계좌를 만들었다. 그리고 퇴사한 뒤 퇴직금을 IRP로 받았다. 작년에 계좌를 만든 김에 세액공제도 받으려고 돈을 좀 넣어서 장외채권이랑 ETF를 매수했었는데, 퇴직금이 들어오니 어떻게 운용해야하나 고민했다. 연금저축에는 한국형 QQQ+SCHD로 운용하고 있으니, IRP는 채권 위주로 운용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가장 기본적인 포트폴리오인 6040 포트폴리오로 운용하고자 생각했기 때문이다. 비중을 어떻게 할 지는 아직 고민 중이긴 하다. 6040처럼 주식60, 채권40의 비중으로 연금저축이랑 IRP를 할까 싶은데, 일단 지금은 평가금액 기준으로 75:25정도 된다. 비중을 맞추려면 IRP에 900만원정도 더 넣어야하는데, 일단 그건 다시 취업을 하고나서 생각해보는걸로... 그리고 .. 2024. 3. 13. [투자연구#8]HAA 전략 응용해보기 퇴사한 이후 이것저것 정신이 없어서 투자에 신경쓰지 못하고 있다.그래서 미국 상승장을 죄다 놓쳐버렸다.또 거기다 코인도 몇 달 전부터 관심이 생겨 계좌까지 만들었지만 투자하지 않고 있었는데, 그새 어마어마하게 폭등해버렸다.그러다 어제 코인을 샀더니 최고점을 찍고 떨어졌다.(...)나는 투자하면 안되는 사람인건가...어차피 꾸준히 투자할거니 잠깐 떨어지는 것은 상관하지 않기로 하자. 어쨌든 아직 달러를 원화로 환전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국주식에 직접 투자는 계속해서 진행해야겠다고 생각한다.정적을 할지 동적을 할지 솔직히 계속 고민되긴 한다.그래도 국내에서 투자하는 방법을 정적 자산으로 하기 있기 때문에, 미국 직접투자 부분은 동적으로 할까 싶다.그래서 투자 전략을 어떤걸 해야할까 고민하고.. 2024. 3. 6. [투자연구#7]ETF를 활용한 개별주 선정_배당주편(2) 지난 글에 이어 배당주 선택에 ETF를 활용하는 방법을 한 가지 더 생각해봤다. https://abunamja.tistory.com/61 [투자연구#7]ETF를 활용한 개별주 선정_배당주편(1) 나는 현재 모든 주식 투자를 ETF로만 하고 있다. 처음 주식투자를 시작할 때 ETF로 입문한 것도 있지만, 그래도 초반에는 개별주도 투자를 했었다. 하지만 모두 정리하고 ETF만 하는 이유가 있다. 1. abunamja.tistory.com 배당주하면 빠질 수 없는 것이 리츠이다. 우리나라에는 리츠 ETF가 많지 않지만, 미국에는 그래도 제법 있으니 여러 개를 비교하면서 종목을 선정하기 괜찮다. 앞선 글에서 선택했던 배당 주식에 리츠를 섞어보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ETF.com에 접속해서 Topic 중 Real.. 2023. 12. 5. [투자연구#7]ETF를 활용한 개별주 선정_배당주편(1) 나는 현재 모든 주식 투자를 ETF로만 하고 있다. 처음 주식투자를 시작할 때 ETF로 입문한 것도 있지만, 그래도 초반에는 개별주도 투자를 했었다. 하지만 모두 정리하고 ETF만 하는 이유가 있다. 1. 개별 회사에 대한 믿음 부족 2. 산업군 및 회사에 대한 대응 어려움 3. 종목 선정의 어려움 4. 자산배분 5. 안정적인 투자 지향 이러한 이유로 개별주는 모두 정리하고 ETF로만 투자를 하고 있다. 그리고 여러 매체를 접하면서 ETF만으로도 다양한 전략이 있어서 여러 방법을 공부하고 투자에 접목시키고 있다. 그런데 최근 미국투자를 어떻게 할 지 방향을 다시 고민하고 있다. 주식으로 돈을 벌 수 있는 것은 매매차익과 배당 두 가지인데, 매매차익은 시장이 올라야 수익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시장 상황에.. 2023. 12. 2. [연금계좌]포트폴리오 정리 끝 앞서 글에 작성했듯이 포트폴리오를 정리하고 있었다. https://abunamja.tistory.com/55 [연금계좌] 포트폴리오 수정 중 이전 글에서 몇 번 언급했던 연금계좌의 포트폴리오는 아래와 같다. 포트폴리오의 리밸런싱 주기를 4월과 11월로 잡았다. 4월은 ETF의 매매를 통해 비율을 조절하고, 11월은 추가납입을 통해 비율 abunamja.tistory.com 이런저런 자산에 분배해서 총 7개의 ETF를 단 2개의 ETF로 바꾸니 계좌가 굉장히 휑하게 느껴진다. 2개의 ETF는 KODEX나스닥100TR과 ACE미국배당다우존스로써, QQQ+SCHD를 한국형으로 구성했다. 이렇게 구성한건 앞선 글에도 써놨으니 넘어간다. 이제 개인적으로 확인하고 싶은 것은 내가 생각한대로 포트폴리오가 작동하는지이.. 2023. 11. 18. [연금계좌] 포트폴리오 수정 중 이전 글에서 몇 번 언급했던 연금계좌의 포트폴리오는 아래와 같다. 포트폴리오의 리밸런싱 주기를 4월과 11월로 잡았다. 4월은 ETF의 매매를 통해 비율을 조절하고, 11월은 추가납입을 통해 비율을 조절하는 것이다. 작년에 포트폴리오를 구성했기에 올해 4월이 첫 리밸런싱이었다. 한 번에 매매를 할까 고민했는데 그래도 분할로 하는게 나을 것 같아서 조금씩 나눠서 매도 및 매수했다. 그런데 저렇게 포트폴리오를 구상한 이후, 괜찮은 구성인가하는 생각이 계속 들었다. 채권을 너무 세세하게 나눈 것도 있고, 연금계좌의 세제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한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금융소득 중에서 국내주식 매매는 비과세이고 나머지는 세금이 있는데, 리밸런싱을 자주하지 않으니 해당 과세는 거의 없다고 보는게 맞을 것.. 2023. 11. 6.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