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투자26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돌아온다고? 2022년 2~3월에 걸쳐 청년희망적금이란 제도를 운용했다고 한다. 이런저런 자격 요건이 있었고, 나는 소득 요건이 맞지 않아서 가입하지 못했다. 연소득 3600만 이하가 자격 요건인데 연봉이 3800만이었다.(TMI) 간단히 찾아보니 우대 금리에 저축장려금이 더해져 일반적인 적금보다 추가적인 금액을 수령할 수 있다. 표를 보니 최소 약 640만원, 최대 약 1300만원을 수령할 수 있는데, 사회초년생이면 이는 작은 금액이 아닐 것이다. 2년간 꾸준히 적금을 부으면서 손에 움켜쥐는 이 돈을 쉽게 소비로만 사용하기엔 아쉬울 것이라 생각한다. 사실 2년동안 적금을 깨지 않고 만기 수령했다면 기본적인 재테크 마인드는 갖춘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그런지 네이버 카페에 수령액을 어떻게 운용할 지 묻는 글이 간혹.. 2024. 2. 29.
[연금계좌]포트폴리오 정리 끝 앞서 글에 작성했듯이 포트폴리오를 정리하고 있었다. https://abunamja.tistory.com/55 [연금계좌] 포트폴리오 수정 중 이전 글에서 몇 번 언급했던 연금계좌의 포트폴리오는 아래와 같다. 포트폴리오의 리밸런싱 주기를 4월과 11월로 잡았다. 4월은 ETF의 매매를 통해 비율을 조절하고, 11월은 추가납입을 통해 비율 abunamja.tistory.com 이런저런 자산에 분배해서 총 7개의 ETF를 단 2개의 ETF로 바꾸니 계좌가 굉장히 휑하게 느껴진다. 2개의 ETF는 KODEX나스닥100TR과 ACE미국배당다우존스로써, QQQ+SCHD를 한국형으로 구성했다. 이렇게 구성한건 앞선 글에도 써놨으니 넘어간다. 이제 개인적으로 확인하고 싶은 것은 내가 생각한대로 포트폴리오가 작동하는지이.. 2023. 11. 18.
[연금계좌] 포트폴리오 수정 중 이전 글에서 몇 번 언급했던 연금계좌의 포트폴리오는 아래와 같다. 포트폴리오의 리밸런싱 주기를 4월과 11월로 잡았다. 4월은 ETF의 매매를 통해 비율을 조절하고, 11월은 추가납입을 통해 비율을 조절하는 것이다. 작년에 포트폴리오를 구성했기에 올해 4월이 첫 리밸런싱이었다. 한 번에 매매를 할까 고민했는데 그래도 분할로 하는게 나을 것 같아서 조금씩 나눠서 매도 및 매수했다. 그런데 저렇게 포트폴리오를 구상한 이후, 괜찮은 구성인가하는 생각이 계속 들었다. 채권을 너무 세세하게 나눈 것도 있고, 연금계좌의 세제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한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금융소득 중에서 국내주식 매매는 비과세이고 나머지는 세금이 있는데, 리밸런싱을 자주하지 않으니 해당 과세는 거의 없다고 보는게 맞을 것.. 2023. 11. 6.
[국내주식]SCHD를 국내ETF로 투자하려는 이유 앞선 글에서 테스트겸 매수했던 ETF의 수량을 딱 정한 적이 있다. https://abunamja.tistory.com/30 [국내주식]계좌정리 후 재투자 재작년 ISA계좌를 개설하면서 일반계좌에 있던 주식을 ISA로 옮기려고 했다. 하지만 그게 불가능하다고 하기에, 어쩔 수 없이 당시 들고있던 주식(삼성전자우+@, 기억이 잘 안남)을 모두 팔고, ISA abunamja.tistory.com SOL미국배당다우존스는 360주, TIGER리츠부동산인프라는 120주를 매수했었다.(지금은 모두 매도했음) 딱 이렇게 정해서 매수했던 이유는 간단하다. 글을 쓸 때 SOL미국배당다우존스의 배당률은 약 3.3%이었다. 리츠는 기억 안 남... 개인적으로 배당금이 의미있는 수준이 되려면, 배당금만으로 ETF를 매수할 수.. 2023. 7. 25.
[연금계좌]포트폴리오 고민 중 현재 투자 중인 연금계좌의 포트폴리오는 다음과 같다. 공격형 자산으로 주식 40%, 금 10%를 들고 있고, 방어형 자산으로 채권 50% 중 국내, 미국을 장기, 단기로 나눠서 각각의 비율에 맞춰 투자하고 있다. 4월에 리밸런싱을 한 뒤 그대로 두고 있는 상태이다. 한동안 금이 엄청나게 오르더니 최근 많이 빠져서 수익률이 줄어들었다. 그리고 채권ETF, 특히 미국채가 죽을 쑤고 있다. 대신 주식이 많이 올라서 전체 포트폴리오는 수익 구간이긴 하다. 그런데 투자하는 종목이 많으니 관리가 좀 어렵다. 리밸런싱 할 때 신경쓸게 많으니 귀찮기도 하고, 너무 분산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혹시 모를 위기를 대비하기 위함이긴 하지만, 너무 위험관리만 하면 수익률을 또 놓칠 수도 있으니... 나의 노후를 위한 연.. 2023. 7. 24.
[국내주식]계좌정리 후 재투자 재작년 ISA계좌를 개설하면서 일반계좌에 있던 주식을 ISA로 옮기려고 했다. 하지만 그게 불가능하다고 하기에, 어쩔 수 없이 당시 들고있던 주식(삼성전자우+@, 기억이 잘 안남)을 모두 팔고, ISA 계좌에 돈을 옮긴 후에 다시 매수를 했다. 정확히 기억은 안 나지만(찾아보기 귀찮) 일반계좌의 삼전우 평단가가 55,000원 가량이었고, ISA에서 재매수했을 때는 평단가가 75,000원 가량이었다. 이후 국내주식은 다들 알다시피 하향곡선을 탔고, 결국 내 삼전은 -20%를 찍었다. 당시 ISA계좌를 만든 이유는 배당소득세를 줄이기 위함이었기에, 포트폴리오를 배당주 위주로 투자했다. 그래서 처음에 매수했던 주식은 삼성전자우, KT&G, 맥쿼리인프라 이렇게 3가지였다. 중간에 리츠주도 샀었는데, 5%정도의 .. 2023. 5. 24.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