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326

[23.06] 동적자산배분 결산 #6-1 이번 달로 넘어오면서 동적자산배분을 활용할 때, 1번 전략에서 QLD를 모두 매도했었다. 당시엔 알고리즘을 확인하지 않고 그냥 값을 보자마자 매도했는데, 모멘텀 점수가 최고점으로 같은데도 매도하게 된 것이었다. 문제점을 발견하고 보완을 했지만 벌써 매도는 완료된 상태. 고민을 했는데 이미 지나간 일이라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해서 매수하진 않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미국장이 계속 상승했고, 모멘텀 스코어가 계속 신경쓰여서 뒤늦게나마 재매수 했다. 그래서 추가로 기록하기 위해 글을 남기는 것이다. 매수 : QLD(60.00) 2023. 6. 15.
[23.06] 동적자산배분 결산 #6 벌써 23년도 반년이 지났다. 근래 들어 피곤이 많이 쌓인건지 뭐든 하고싶지 않다.(안 그런 적이 있던가?) 회사에서도 알아봐야 할게 있고 개인적으로도 신경쓸게 많이 있고... 정리가 명확하게 되지 않으니 나도 모르게 스트레스를 받는 것 같다. 세상 사는 일이 다 그렇겠지 뭐... 이런저런 일이 많지만, 그 와중에 나름 취미(?)처럼 투자로 머리를 식혀보자(???). 5월엔 시장 전체적으로 많이 올랐는데 불안불안한 느낌이 든다. 현재 사용 중인 전략 : 배당적립+레버리지 모멘텀, 채권동적자산, HAA 1. 배당 적립+레버리지 모멘텀 내가 개발(?)해서 사용 중인 투자전략이다. 근래 시장도 상당히 좋고, 특히 5월말 엔비디아로 인해 나스닥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수익률이 꽤 괜찮았다. 그래도 일단 엑셀로 .. 2023. 6. 2.
[국내주식]계좌정리 후 재투자 재작년 ISA계좌를 개설하면서 일반계좌에 있던 주식을 ISA로 옮기려고 했다. 하지만 그게 불가능하다고 하기에, 어쩔 수 없이 당시 들고있던 주식(삼성전자우+@, 기억이 잘 안남)을 모두 팔고, ISA 계좌에 돈을 옮긴 후에 다시 매수를 했다. 정확히 기억은 안 나지만(찾아보기 귀찮) 일반계좌의 삼전우 평단가가 55,000원 가량이었고, ISA에서 재매수했을 때는 평단가가 75,000원 가량이었다. 이후 국내주식은 다들 알다시피 하향곡선을 탔고, 결국 내 삼전은 -20%를 찍었다. 당시 ISA계좌를 만든 이유는 배당소득세를 줄이기 위함이었기에, 포트폴리오를 배당주 위주로 투자했다. 그래서 처음에 매수했던 주식은 삼성전자우, KT&G, 맥쿼리인프라 이렇게 3가지였다. 중간에 리츠주도 샀었는데, 5%정도의 .. 2023. 5. 24.
아싸가 부자되기 좋은 이유 Outsider 1. [명사] (사회·집단의 일부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국외자[아웃사이더] 2. [명사] (특정 조직·직종에 속하지 않는) 외부인 (출처 : 네이버 사전) 아웃사이더를 사전에서 찾으면 위와 같이 나온다. 간단히 말하자면 소속이 없이 떠도는 외부인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여기서 파생된 신조어인 '아싸'는 '무리에 어울리지 않고 혼자 노는 사람'의 의미를 갖는다.(출처 : 나무위키) 왕따나 찐따 이런 말과 비슷한 느낌이 있긴 한데, 아싸가 좀 더 큰 개념으로 느껴진다. 아싸도 자발적/비자발적이 있는데 왕따는 비자발적 아싸 범주에 들어갈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런 부분이 중요한 것이 아니므로 이정도로만 하고... 조직생활에 익숙한 우리나라 사람들은 보통 아싸에 대한 시각이 '외로움', .. 2023. 5. 17.
[투자 고민]개인연금/퇴직연금 포트폴리오 고민 직장생활을 시작한지는 5년차, 현재 회사는 3년차가 되었다. 지금 다니는 곳이 공공기관이긴 하지만, 개인적인 생각과 맞지 않는 점이 많아서 다른 도전을 해보려고 한다. 현재 계획 중인 것이 진행대로 되면 올해까지만 다니지 않을까 싶다. 퇴사하게 되면 이것저것 따질게 엄청나게 많다. 4대보험과 세금, 부동산 등등... 그건 좀 더 명확하게 되면 공부하면서 정리해야할 것 같고, 지금 떠오르는 것은 퇴직금이다. 이전 직장에서 퇴사할 때는 그냥 일반계좌로 퇴직금을 받았는데, 2022년부터 퇴직금은 무조건 IRP 계좌로 받아야한다고 한다. 작년부터 혹시 모를 퇴사에 대비하기 위해 IRP 계좌는 진작 만들어 뒀다. 퇴사와 관련해 이런저런 생각을 하다가 퇴직금이 궁금해졌고, 대충 계산해보니 1,000만원정도 되는 듯.. 2023. 5. 8.
[연금계좌] 포트폴리오 매도 리밸런싱(23.04) 현재 나에게 주식 포트폴리오는 크게 3가지가 있다. 국내주식(ISA 활용), 미국주식(자산배분전략), 연금계좌(개인연금+퇴직연금) 그리고 각 포트폴리오마다 세부적인 전략을 갖고 계좌를 세분화해서 투자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주식 포트폴리오는 언젠가 정리할 계획이다. 일단 우리나라 개별주에 투자하기에는 시장에 대한 신뢰가 없고(최근 SG증권 사태도 발생했고) ETF로 투자하자니 영 맘에 들지 않는다. 세제혜택이 있긴 하지만 글쎄... 아직 투자금이 작아서 그런지 엄청나게 메리트가 있어보이진 않는다. 시간을 두고 투자할만한 ETF들이 많이 생기면 투자하겠지만, 아직은 신뢰가 쌓이지 않았다. 그래서 큰 틀로 보면 미국주식과 연금계좌를 활용해서 투자를 이어나갈 생각이다. 이 중 미국주식은 따로 글을 작성하고 있고.. 2023. 5.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