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61

[투자연구#6]레버리지 모멘텀 비율 투자-챗GPT의 피드백 작년 11월에 챗GPT가 처음 공개된 이후, 사람들의 반응은 뜨겁다라는 말로도 표현이 다 되지 않을만큼 정말 폭발적인 관심을 보였다. 지금까지 허접했던 챗봇과는 차원이 다른 성능에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은 우주 끝까지 다다를 기세였다. 한동안 챗gpt 사이트에 접속조차 되질 않는다고 했으니, 그 인기는 실감이 되질 않는다. 하지만 나는 지금까지 써보지는 않았다. 맨 처음 알게됐을 때 한 번 접속해봤는데, 어떻게 하는지도 모르고 관심이 워낙 많을 때라 속도도 너무 느려서 금방 꺼버렸다. 이후 뉴스로 종종 듣기는 했지만, 회원가입을 하려니 전화번호를 적으라길래 괜히 찜찜해서 가입하지 않았다. 그런데 문득 내가 사용하는 전략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다. 그래서 찜찜함을 극복(?)하고 Open AI에 가입해서 챗gp.. 2023. 9. 26.
[23.09] 동적자산배분 결산 #9 어느덧 무더운 여름이 지나고 저녁이 되면 선선한 날씨가 되었다. 비도 그렇게 오고 더위도 그렇게 심하더니 광복절이 지나니 날씨가 금새 바뀌었다. 참으로 자연은 신기하다. 무더웠던 여름처럼 시장도 뜨거웠다. 뜨겁게 오른게 아닌 뜨겁게 출렁인다. 뭔가 뉴스가 많아서 주가가 출렁였는데 기억이 안 난다. 그 시장 안에 있으니 레버리지의 무서움을 몸소 느꼈다. 10%대의 수익이 순식간에 0%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보면서 왜 레버리지가 위험한지 알았다. 하지만 나름 세워놓은 규칙에 따라 레버리지etf 투자법은 계속 진행하려고 한다. 뒤에서 말하겠지만 투자 전략을 바꾸기로 했다. 지난 번에 백테스트 했던 레버리지 비율 투자를 진행하기로 했다. 자세한건 아래 포스팅 하기로... 현재 사용 중인 전략 : 레버리지 추세 .. 2023. 9. 2.
[투자연구#6]레버리지 모멘텀 비율 투자 ETF 투자를 어떻게 할지 요즘 계속 고민하고 있다. 특히 레버리지를 어떻게 활용할지가 가장 큰 고민인데, 여러가지로 검색해봐도 마땅치가 않다. 그래서 직접 백테스트를 해보기도 하는데 역시 뭔가 한계가 있다. 최근에 이동평균선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이리저리 궁리하고 있다. 그래도 이동평균으로 찾으니 레버리지 투자와 관련된 글을 좀 찾을 수 있다. ※내가 왜 레버리지ETF를 투자자산으로 삼는지는 나중에 한 번 적어볼 생각이다. 이런 저런 생각을 하면서 운동을 하던 중, 내가 적용하고 있는 전략을 사용해볼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가중평균 모멘텀을 활용하는 것인데, 모멘텀 점수에 따라 비중을 다르게 하는 것이다. 현재 내가 사용하는 모멘텀 산출 방식을 활용하면 최대 6.5점에서 최소 -6.5점까지 나온다. 이.. 2023. 8. 11.
[투자연구#5]레버리지 이동평균선 백테스트 요즘 레버리지ETF를 어떻게 투자에 활용할지 고민 중이다. 지금은 가중 모멘텀 스코어를 활용해서 투자하고 있는데, 매번 계산하는 것도 귀찮고 검증도 제대로 안됐다. 그래서 좀 더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고, 그 중 하나로 이동평균선을 고려하고 있다. 이동평균선이란? 평균은 누구나 알고 있을 개념이다. 간단하게 계산하고자 하는 값을 더한 뒤 그 값들의 갯수만큼 나눈 것이다. 흔하게 사용하는 평균은 산술평균이고, 그 외에도 여러 평균이 있지만 그걸 공부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니깐. 이동평균은 말그대로 평균이 이동한다는 뜻으로, 100개의 평균을 구한 다음 101번째의 값이 나온다면 맨 처음 1번째의 값을 버리고 2~101까지의 평균을 다시 구하는 것이다. 주식은 매일 변하기 때문에 이렇게 이동.. 2023. 8. 4.
[23.08] 동적자산배분 결산 #8 7월 마지막 토요일부터 휴가를 다녀오느라 포스팅이 하루 늦었다. 특별히 어디간건 아니고 분양받은 아파트에 가서 뒹굴거리다 왔다.(...) 컴퓨터도 없고 노트북도 없어서 작업이 불가능했다. 태블릿을 들고가긴 했는데 회사꺼라 개인용으로 굳이 쓰고싶지 않았다. 레버리지 모멘텀 계산을 위해 잠깐 로그인하긴 했지만 곧바로 로그아웃. 다행히 스노우볼72라는 사이트를 통해서 알려진 전략은 보유 전략을 알려주므로 그걸 보고 매매를 진행했다. 현재 사용 중인 전략 : 배당 적립+레버리지 모멘텀, 채권동적자산, HAA 1. 배당 적립+레버리지 모멘텀 미국시장이 뜨겁다. 덕분에 레버리지는 미쳤다. 경기침체를 이야기하더니 '웃기는 소리!'하면서 미친듯이 오르고 있다. 덕분에 레버리지ETF의 수익률은 10%대에 진입했고, SC.. 2023. 8. 2.
[국내주식]SCHD를 국내ETF로 투자하려는 이유 앞선 글에서 테스트겸 매수했던 ETF의 수량을 딱 정한 적이 있다. https://abunamja.tistory.com/30 [국내주식]계좌정리 후 재투자 재작년 ISA계좌를 개설하면서 일반계좌에 있던 주식을 ISA로 옮기려고 했다. 하지만 그게 불가능하다고 하기에, 어쩔 수 없이 당시 들고있던 주식(삼성전자우+@, 기억이 잘 안남)을 모두 팔고, ISA abunamja.tistory.com SOL미국배당다우존스는 360주, TIGER리츠부동산인프라는 120주를 매수했었다.(지금은 모두 매도했음) 딱 이렇게 정해서 매수했던 이유는 간단하다. 글을 쓸 때 SOL미국배당다우존스의 배당률은 약 3.3%이었다. 리츠는 기억 안 남... 개인적으로 배당금이 의미있는 수준이 되려면, 배당금만으로 ETF를 매수할 수.. 2023. 7.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