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배당ETF34 [ETF정리] SPDR Bloomberg 1-3 Month T-Bill ETF(BIL) 자본이 지배하고 있는 미국에는 정말 다양한 금융상품이 있다.경제 전공이 아닌 난 사실 잘 모르지만, ETF만 봐도 별의별 상품에 투자하는게 있음을 알 수 있다.주식이나 채권, 원자재 이런건 기본이고, 이제는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에까지 투자하기 시작했다.또 찾아보니 진짜 '이런데에 투자한다고?' 싶은 상품들도 있다고 한다. 그야말로 돈이 될 것 같은건 죄다 투자하는게 미국이다.이런 미국에서 채권 ETF같은건 이제 식상할(?) 지경이다.얼마 전에 살펴봤던 SOL CD금리&머니마켓액티브 같이 초단기채권에 투자하면서 월배당을 주는 상품의 경우에도 우리나라는 이제서야 출시했지만, 미국은 진작부터 출시했다.예전에 동적자산배분으로 투자할 때, 채권동적자산 전략에 포함되어 있는 ETF 중 하나가 그것인데, BIL이.. 2024. 12. 2. [ETF정리] SPDR Portfolio S&P 500 High Dividend ETF(SPYD) 처음 주식에 입문하게 된 계기가 배당이었고, 해외 주식을 시작한 것도 마찬가지의 이유였다.특히 분기배당, 월배당이라는 개념은 예적금과 펀드 정도만 알던 나에게는 신세계였다.그리고 일정 기간마다 배당을 받으면서 주가 상승도 기대할 수 있는 배당주 투자는 신선한 충격이었다.이러한 이유로 미국 주식을 가장 처음 매수했던 것은 배당 ETF였다.그 이후에도 기술주나 성장주보다는 배당주 위주로 담았다.현재는 미국에 직접 투자하는 계좌는 배당 투자를 진행하고 있지 않지만, 내가 투자를 입문하는데 있어 배당이라는 요소는 매우 크게 작용했던 것이 사실이다.어쨌거나 미국 투자를 시작할 때 어떤 주식을 담아야할 지 고민했었는데, 이제 막 뜨기 시작했던 유튜브 영상과 몇 가지 인터넷 검색으로 알게 되었던 ETF를 처음으로 담.. 2024. 11. 29. [ETF정리] SOL CD금리&머니마켓액티브 ETF의 분배금을 확인하던 중, SOL 홈페이지에서 새로운 ETF에 대한 내용을 봤다.파킹ETF인데 월배당을 준다는 것이었다.높은 금리와 불안정한 시장 상황 속에서 파킹형 상품에 대한 인기가 높아졌고, 그로 인해 CMA나 파킹예금뿐만 아니라 파킹형 ETF도 다양하게 출시되기 시작했다.파킹형 ETF는 만기가 매우 짧은 채권이나 CD 등을 활용해서 초단기 자금을 운용하고 그럼으로써 안정적인 현금 확보를 실현할 수 있다...라고 하는데, 그냥 간단히 말해서 노는 돈 현금으로 놔두면 아쉬우니 비교적 안전성이 높은 ETF에 놔두자는 것이다.그럴꺼면 CMA를 하지 않고 ETF로 놔둘 이유가 있나?음... 생각해보니 IRP같이 CMA로 활용할 수 없는 계좌에서는 이런 파킹형 ETF가 필요할 수 있겠다싶다.그런데 보통.. 2024. 11. 28. [ETF정리]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월배당 ETF가 우리나라에서 큰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정확하진 않지만 SOL ETF에서 출시한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이후부터 인 것 같다.그 이전까지는 우리나라에서 월배당은 커녕, 배당이나 잘 주는 기업이 얼마나 있었는지 모르겠다.미국의 경우 기업뿐만 아니라 ETF에서도 월배당 상품이 이미 알려져 있었기에, 미국으로 배당투자를 하는 경우 다양한 선택권이 있었다.그러나 우리나라는 그렇지 못했기 때문에, 배당투자가 비교적 발달하기 힘든 투자 환경이었다.그렇지만 코로나를 지나면서 주식 투자자의 수가 늘어나고, 다양한 투자 방법이 소개되면서 배당 투자에도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게 되었다.처음 주식형 ETF를 시작으로, 다양한 상품에 투자하는 월배당 ETF가 출시되기 시작했다.특히 주식과 반비례의 움직임.. 2024. 11. 27. [ETF정리] SOL 미국배당미국채혼합50 여러 번 작성했지만, 나는 현재 배당 ETF를 주로 하여 투자하고 있다.특히 배당성향이 강한 미국에 투자하는 ETF를 선호하고 있고, 그 중 가장 베스트는 역시 SCHD이다.국내에 관련 상품이 출시되기 전, 미국에 직접 투자를 할 때부터 알던 상품이었고, 큰 수익이나 배당을 받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꾸준히 잘 준다는 것은 알고 있었기에 그 때부터 선호하던 ETF이다.그렇기에 우리나라에 상장된다고 했을 때, 내가 매수할 것은 당연한 것이었다.다만 국내 시장이라는 것이 조금 걸리긴 했지만...그렇다고 연금계좌나 ISA에서는 해외에 직접 투자할 수 없으므로 반쯤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매수했다.하지만 원본 SCHD와 달리 국내 상장 ETF들은 월배당을 주니 나름대로 장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실상 한국판 SCHD를.. 2024. 11. 25. [ETF정리] KODEX 미국부동산리츠(H) ISA계좌 포트폴리오를 구상할 때, 배당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짜려고 하니 리츠 ETF를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했다.나름 배당 투자에서 중요한 축을 담당하는 리츠인데 포함시키지 않을 수 없었다.비중 자체는 크지 않더라도 넣을 계획이었으니 어떤 상품을 넣어야할까 고심했다.일단 가장 크게 국내 리츠 ETF를 넣을 것인지, 해외 리츠 ETF를 넣을 것인지부터 정해야했다.한참 고민하다가 그래도 국내보다는 해외에 투자하는 것이 낫겠다는 생각에 해외, 미국 리츠를 담은 상품에 투자하기로 했다.일단 미국 리츠로 정하고 나니, ISA에 담을 상품을 찾아봐야했다.국내 상장된 미국 리츠 ETF는 총 3개가 있었다.예전에 연금계좌에서 다양한 자산군에 나눠서 포트폴리오 투자를 했었는데, 그 때는 TIGER 미국MSCI리츠(합성 .. 2024. 11. 23.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