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23.11] 동적자산배분 결산 #11

by 아부남 2023. 11. 1.
반응형

이제 2023년도 2달 밖에 남지 않았다.

9월까지는 그래도 약간 버티던 시장이 10월이 되며 많이 하락했다.

특히 국내시장은 10월 막판에 완전 개박살 나버렸다.

이런 저런 사고가 터져서 그런 것 같은데... 어느 순간부터 국내 시황은 안 보다 보니 자세히는 모르겠다.

어차피 국내주식은 거의 없는 수준이지만, 그래도 연금계좌에 찍힌 마이너스를 보면 씁쓸하다.

어쨌든 전략을 확인하는 작업은 일단 진행한다.

현재 사용 중인 전략 : 레버리지 추세 비율, 채권동적자산, HAA(예비)

 

1. 레버리지 추세 비율

전략 사용 이후 처음으로 음수의 모멘텀 스코어가 떴다.

다시 말하자면 시장이 박살났다는 뜻.

안 그래도 레버리지를 쓰다보니 -10%대는 우습고 -20%대도 찍었던 걸로 기억한다.

-30%대도 있었던가?

어쨌든 시장이 안 좋으니 손실이 발생했다.

이로써 모든 미국 투자금은 0가 되었다.

매수 : X

매도 : QLD(56.10)

유지 : X

수익률 : -14.75%(실현), 0%(월 평가)

 

2. 채권동적자산

채권투자도 계속해서 좋지 않다.

삼프로를 들으니 미국채 수익률이 5%를 뚫었다고 하던데, 처음엔 뭔 소린가 했더니 채권 가격이 떨어져서 그런거란다.

참고로 채권 수익률이 5%를 넘은건 2008년 금융위기 때였나? 그 때 이후로 처음이라는데...

시장이 얼마나 안 좋은건지 참...

근데 그렇다면 채권etf보다 채권에 직접 투자하는게 더 좋은게 아닐까?

물론 미국채에 직접 투자하는 건 쉽지 않지만 말이다.

매수 : X

매도 : X

유지 : X

수익률 : 0%(실현), 0%(월 평가)

 

3. HAA(예비)

이 전략은 투자하지 않고 있지만 일단 확인은 계속하고 있다.

확실히 시장이 안 좋으니 매수해야하는 자산이 아무 것도 없다.

매수 : X

매도 : X

유지 : X

수익률 : 0%(실현), 0%(월 평가)

 

결론

레버리지 추세 비율에 투자된 자산을 모두 매도함으로써 주식에 투자되는 금액은 0이 되었다.

이 금액을 어떻게 할 지 고민된다.

제일 간단한건 외화RP를 매수하는 건데, 해외채권을 투자해볼까도 고민된다.

미국 기준금리가 5.5%가 되었으니, 무위험 자산의 수익률이 5%인데 주식시장이 단기간에 뛰어넘을 수 있을까라는 말을 들으니 맞는 것 같다.

장기적으로 주식의 수익률이 더 높겠지만 일단은 떨어지고 있는 칼은 피해야하니...

더구나 나는 개별주식을 하는 것도 아니고 시장지수에 투자하니 현재 주식 투자는 약간 사려야하는 것 같다.

 

지난 달에 사주를 봤는데, 올해는 내 운이 좋지 않다고 했었다.

듣고보니 올해 안 좋은 일이 많이 생겼는데, 다행인지 내년부터는 운이 좋다고 하니 믿어봐야겠다.

그나저나 사주에서는 나는 주식보단 부동산이 더 맞다는데... 어떡하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