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ETF정리/국내ETF33

[ETF정리]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H) 월배당 ETF가 우리나라에서 큰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정확하진 않지만 SOL ETF에서 출시한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이후부터 인 것 같다.그 이전까지는 우리나라에서 월배당은 커녕, 배당이나 잘 주는 기업이 얼마나 있었는지 모르겠다.미국의 경우 기업뿐만 아니라 ETF에서도 월배당 상품이 이미 알려져 있었기에, 미국으로 배당투자를 하는 경우 다양한 선택권이 있었다.그러나 우리나라는 그렇지 못했기 때문에, 배당투자가 비교적 발달하기 힘든 투자 환경이었다.그렇지만 코로나를 지나면서 주식 투자자의 수가 늘어나고, 다양한 투자 방법이 소개되면서 배당 투자에도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게 되었다.처음 주식형 ETF를 시작으로, 다양한 상품에 투자하는 월배당 ETF가 출시되기 시작했다.특히 주식과 반비례의 움직임.. 2024. 11. 27.
[ETF정리] SOL 미국배당미국채혼합50 여러 번 작성했지만, 나는 현재 배당 ETF를 주로 하여 투자하고 있다.특히 배당성향이 강한 미국에 투자하는 ETF를 선호하고 있고, 그 중 가장 베스트는 역시 SCHD이다.국내에 관련 상품이 출시되기 전, 미국에 직접 투자를 할 때부터 알던 상품이었고, 큰 수익이나 배당을 받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꾸준히 잘 준다는 것은 알고 있었기에 그 때부터 선호하던 ETF이다.그렇기에 우리나라에 상장된다고 했을 때, 내가 매수할 것은 당연한 것이었다.다만 국내 시장이라는 것이 조금 걸리긴 했지만...그렇다고 연금계좌나 ISA에서는 해외에 직접 투자할 수 없으므로 반쯤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매수했다.하지만 원본 SCHD와 달리 국내 상장 ETF들은 월배당을 주니 나름대로 장점이 있었다. 그리고 사실상 한국판 SCHD를.. 2024. 11. 25.
[ETF정리] KODEX 미국부동산리츠(H) ISA계좌 포트폴리오를 구상할 때, 배당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짜려고 하니 리츠 ETF를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했다.나름 배당 투자에서 중요한 축을 담당하는 리츠인데 포함시키지 않을 수 없었다.비중 자체는 크지 않더라도 넣을 계획이었으니 어떤 상품을 넣어야할까 고심했다.일단 가장 크게 국내 리츠 ETF를 넣을 것인지, 해외 리츠 ETF를 넣을 것인지부터 정해야했다.한참 고민하다가 그래도 국내보다는 해외에 투자하는 것이 낫겠다는 생각에 해외, 미국 리츠를 담은 상품에 투자하기로 했다.일단 미국 리츠로 정하고 나니, ISA에 담을 상품을 찾아봐야했다.국내 상장된 미국 리츠 ETF는 총 3개가 있었다.예전에 연금계좌에서 다양한 자산군에 나눠서 포트폴리오 투자를 했었는데, 그 때는 TIGER 미국MSCI리츠(합성 .. 2024. 11. 23.
[ETF정리] RISE 중기우량회사채 국내채권에 투자하는 ETF 중 월배당은 많지 않다. 커버드콜 상품도 없다.우리나라 국채는 굉장히 안정적으로 평가받으니 그런 것일까?아니면 만기가 아주 긴 것이 적은 것일까?6개월마다 이자를 지급해서 그런 것일까?어쨌건 우리나라 국채를 묶어서 판매하는 ETF는 월배당을 주지 않는다.주식과 혼합한 상품 중 주는 것은 있지만, 채권 단독으로는 아직 없다.곧 이런 상품도 나오길 바라는 마음이지만 과연 나오게 될런지...그래서 아쉬운대로 월배당 상품 중 국내 채권으로 이루어진 것이 뭐가 있나 찾아보면 아예 없지는 않다.그 중 하나가 이 ETF로, ISA에서 잠깐 투자한 적이 있다.지금은 투자하지 않지만, 재투자할 여력은 언제든 있기에 한 번 살펴보려고 한다. 1. 개요상품명 : RISE 중기우량회사채운용사 : K.. 2024. 11. 22.
[ETF정리] KODEX iShares미국투자등급회사액티브 지난번에 작성했던 KODEX iShares미국하이일드액티브 및 ACE 미국30년국채액티브와 함께 IRP에 투자했던 ETF가 이 상품이다. 당시 생각했던 것은 연금저축펀드에 주식ETF를 담고 있으니, IRP에는 채권ETF를 담아서 포트폴리오를 만들되, 채권도 좀 더 다양하게 분산하자는 의미로 그렇게 담았던 것이다. 그런데 IRP에 다양하게 담았더니 매매가 영 번거로워서 국채만 놔두고 나머지는 모두 매도했다. 이후 미국 회사채 ETF는 따로 생각해두지 않고 있었다. 그러던 중 미국의 국채만 투자하지 말고 회사채도 고려해 보라는 영상을 스치듯 보면서, 회사채 ETF가 문득 생각났다. 그래서 지난번 하이일드채권 ETF에 이어 투자등급 회사채도 살펴보려고 한다. 1. 들어가기에 앞서채권 등급은 신용평가사의 평가에.. 2024. 11. 19.
[ETF정리]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 요즘은 국내에도 월배당ETF가 많이 상장되어 비교적 익숙해졌지만, 몇 년 전만해도 국내에는 없었다.실제로 있었는지는 모르지만, 일단 내가 알고 있던 상품은 없었다.보통은 분기로 분배금을 나눠줬고, 일부는 고배당임에도 1년에 1회 분배금을 지급하는 정도였다.그러나 월배당 인기가 치솟으며 많은 상품이 출시되었고, 이전에 상장되어 있던 ETF 중에도 일부 상품이 월배당으로 전환되었다.이번에 살펴보려는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도 이러한 상품 중 하나이다.생각해보면 외국에는 리츠 상품 중 일부는 진작부터 월배당이었는데 (대표적으로 리얼티인컴), 우리나라는 왜 이제서야 월배당을 주는지 참 아쉽다.그래도 원래 분배금도 잘 주는 편이었고, 이제는 월배당으로 바뀌었으니 투자하기 괜찮은지 간단히 알아보자. 1. 개요 상.. 2024. 11. 16.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