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마음은 이미 퇴사했는데, 돈이 문제죠."
퇴사를 결심했든, 고민 중이든,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것은 ‘감정’보다 ‘재정’입니다. 안정적인 급여가 끊기는 순간부터 모든 금융 흐름이 바뀌기 때문에, 준비 없이 퇴사하면 예상치 못한 비용과 스트레스가 따를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퇴사 전 반드시 점검해야 할 금융 체크리스트를 단계별로 정리해드릴게요.
반응형
1. 비상금 확보 상태 점검
- 최소 3~6개월치 생활비 확보 여부 확인 (이직 공백 대비)
- 고정지출(월세, 보험료, 대출 상환 등) 기준으로 계산
- 비상금 계좌 분리 → CMA 또는 입출금 자유 통장에 분산
✅ TIP: 이직 일정이 미정이라면 1,000만 원 이상 목표 설정
2. 퇴직금 수령과 IRP 계좌 준비
- 퇴직소득세 공제 확인 후 수령액 계산
- IRP 계좌 미보유 시, 사전 개설 필수 (퇴직금 이체를 위해)
- 수령 즉시 소비 NO → 일부는 안전자산에 보관, 일부는 재투자 계획 세우기
✅ TIP: 퇴직 후 국민연금 ‘임의가입’도 함께 고려해보세요.
3. 건강보험 전환 체크
- 직장보험 → 지역보험 전환 (퇴사 후 1달 이내 자동 전환)
- 예상 보험료는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계산 가능
- 수입 없을 경우 ‘임의계속가입’ 또는 ‘건강보험료 경감 신청’ 고려
✅ TIP: 1년간 직장 보험 수준 유지 가능한 제도 활용 가능
4. 고용보험 실업급여 준비
- 피보험단위기간 180일 이상 + 비자발적 퇴사 요건 충족 여부 확인
- 퇴사 후 14일 내 고용센터 신고 → 수급자격 인정 신청
- 구직활동 계획 포함한 이직확인서 제출 필수
✅ TIP: 실업급여 수급 중 알바, 프리랜서 소득 발생 시 신고 의무 있음
5. 대출 상환 계획 정비
- 기존 대출(신용·전세자금 등)의 상환 조건 확인
- 일부 상품은 직장 유지 조건 필수 → 퇴사 시 불이익 가능
- 이자 납입 스케줄 재조정 or 상환유예 신청 가능성 검토
✅ TIP: 급여입금 조건 신용카드·통장 혜택도 유지 여부 확인
마무리: 퇴사는 준비된 사람에게 기회가 됩니다
사직서를 내는 순간이 아니라, 재정 루틴이 정돈된 순간이 진짜 시작입니다. 퇴사 후의 불안함을 줄이기 위한 최선의 준비는 ‘돈’입니다.
이 글의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하나씩 점검해보세요. 퇴사 이후에도 흔들리지 않는 삶의 기반이 만들어질 겁니다.
여러분은 퇴사를 준비하며 어떤 금융 항목을 점검하고 계신가요?
댓글로 함께 나눠보세요!
728x90
반응형
'재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 연말정산 실수 줄이는 노하우: 꼭 챙겨야 할 공제 항목들 (0) | 2025.07.11 |
---|---|
연금저축·IRP 수익률 높이는 실전 운용 전략 (1) | 2025.07.06 |
사회초년생을 위한 첫 주식 투자 입문 가이드 (1) | 2025.07.03 |
ETF 투자 실수 방지 가이드: 초보자가 흔히 저지르는 5가지 (2) | 2025.07.02 |
재테크 독서 습관 만들기: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책 7선 (6) | 2025.07.01 |